양도소득세 장기보유특별공제 9억원초과 더 합리적인지 정확하게 할고 계시니까요.

실거래가격이 9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고가주택이라고 불리는데 기준시가 로
정해진게 아니고 실거래가격으로 계산 되어진다고
하죠.
기준시가는 종부세 소득세 계산할때 사용되어진다고 해요.
2018년 9월 13일 주택시장 안정대책 후속으로
1가구 1주택자에 대해 특례를 실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했습니다.
때문에 2020년 이후부터 실거래가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를 보유한 1주택자 분들은 2년 이상 거주하셔야만
장비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받을수 있다고 ㅎ해요.
조정대상 지역내 일시적 2주택자의 경우는 2년 내에
기존에 살던 주택을 양도 하셔야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올해까지는 1주택자의 경우 거주기간 제한 없이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수 있었지만
2020년 부터는 9억원 초과 아파트를
판매하실 경우 위에 말씀드린 것 처럼 2년이상
거주를 하셔야만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위에 세율표를 보시면 올해부터 적용되는
공제율표 이고요. 1가구 1주택의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연간 8%씩
공제율이 높아지는걸 보실수 있을겁니다.
장기보유특별공제
소득세법에 의거 보유기간 3년 이상인
건물이나 토지에 대해 양도세액 계산시
일정액을 공제하여 양도세를 계산하게 됩니다.
표대로 소유기간이 길면 길수록
공제율이 높아지는걸 보실수 있을겁니다.
15년이상 부터는 무조건 30% 만 적용 받습니다.
미등기 양도자산, 조합원에게 양도받은 입주권
2018년 4월1일 이후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의
양도는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받을수 없게 됩니다.

9억원 이상 실거래가 고가주택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9억원이 초과 되는 금액에
대한 계산 방법 입니다.

(15억원 -10억원) * 15억원 - 9억원/15억 = 2억원
양도소득세가 2억원으로 계산이 되어집니다.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계산하려면
보유하신 기간을 정확하게 아셔야 하겠죠.
부동산의 보유기간 계산은 취득일 부터 양도일 까지 입니다.
보유기간 5년 이라고 가정하면
40% 공제 받을수 있으니 8천만원이 장기보유특별공제 받을수 있는거죠
즉 2억원에서 8천만원을 제외한 1억 2천만원을
과세표준 적용하셔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사실 이도저도 계산하기 힘드시면
부동산 업자분에게 물어보시는게
가장 빠를겁니다.
부동산 하시는분들은 앞으로 내년에 있을 법안까지
모두 알고 계셔서 어떤 시기에 구입하시는게
더 합리적인지 정확하게 할고 계시니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