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면제조건 한 주택을 처분하면 양도소득세 면제 조건에 부합됩니다.

취득세는 구입 시 과세되는 세금이고
양도세는 판매할 때 생기는 시세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을 뜻합니다.
부동산 구입할 때 금액과 판매할 때 생기는 차익금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이걸 양도소득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양도라는 말은 매매나 교환을 했을 때 소유권이
바뀌는 걸 뜻하고 부동산 건물, 토지, 주식 등에도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


양도소득세 사실 적지 않은 금액이긴 합니다.
양도소득세의 경우 조건만 맞는다면 면제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한 가구에 1주택 보유 시 양도소득세 면제 조건은 2년 이상 주택을
소유했을 때인데 주택의 가격이 9억 원 이상이라면 9억 원의
초과분에 대해서는 양도세를 내셔야 해요.

1주택자 분이시더라도 2주택이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 마련이죠.
기존 집을 두고 이사를 위해 새로운 집을 구입하게 되었을 때나
결혼 같은 경우 집이 한채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집을 구입하면 본의 아니게 1가구 2주택이 되는 거죠.
위에 경우가 발생하시더라도 3년 이내에
주택을 판매하게 되면 양도소득세 면제 대상입니다.
2017년 8월 2일 정부의 부동산 규제 발표에 따르면
조정 대상 지역 내 주택, 보유가 아닌 거주를 해야
면제받으실 수 있습니다.
1가구 2주택 양도세 면제조건 자세히 알아보기
☞ 면제조건
2017년 8월 3일 이후 구입이나 증여받은 주택을
2년 보유 (조정 대상 지역 2년 거주), 양도액
9억 원 초과 시 초과분은 세금을 내야 합니다.
기존 주택을 구입 후 1년 경과 후 새로운
주택을 취득해야 합니다.
2017년 8월 3일 이후 구입한 조정 대상 지역 주택은
실거주를 2년 동안 하셔야 합니다.
2018년 9월 3일 이후에 조정 대상 지역 -
2년 안에 기존주택을 매도해야 합니다.
면제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보유기간에 따라 세율을 달리하게 되죠
2년 이상 주택 보유 시 양도차액의 구간별로
세율 금액이 달라지죠
양도차익이 높을 수로 당연히 세율도
높아집니다.
2021년 1월 1일부터 2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처 양도세, 비과세의 조건이 강화된다고
하네요.
변경될 조건은 최종 1주택이 된 시점부터
2년 이상 보유 조건을 충동해야만 면제 조건에
부합된다고 합니다.

조정 대상 지역 내 2주택자 - 10%,
3주택자 20% 중과세가 적용 됩니다.
중과세란? 기본세율에 추가 세율이 붙는 것을 뜻합니다.
위 표에서 양도소득이 2천만 원이라고 보면
과세표준 금액으로 15% 세율에 해당이 되는 거고
2주택자 일 때는 10% 부과한 25% 가 세율로 적용
받게 됩니다.

기존 주택을 판매하지 않고 보유하게 되면
새로운 주택을 구입하고 나 분양받을 경우
일 시작 1가구 2주택이 되는 건데
3년 이내 기존에 보유하시던 주택을 판매하시면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 거죠.
새로 구입한 주택의 구입 시점이
기존 주택 소유 기간이 1년이 지난 후 여야 하며
조정 대상 지역의 경우에는
새 주택을 구입한 뒤 2년 안에 기존 주택을 매도하여야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면제 조건에 부합됩니다.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면제조건
기존 주택이 있는 상황에서 새 아파트를 청약하거나
다른 지역에 주택을 구입하여 이사를
계획하게 되면서 기존에 살던 주택을 판매하지 못한 채
새로운 집으로 입주하는 경우를 뜻하는데
이런 식으로 기타 등등에 사유로 2주택이 되더라도
3년 안에 기존주택을 정리하시면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 조정 지역은 2년이라고 해요.


본의 아니게 1가구 2주택이 되는 경우
60세 이상 부모 와 합가
직계존속의 봉양을 위해 세대 합가 시 2주택이 된다면
합가한 날로부터 10년 이내 먼저 양도하는 주택은
비과세 대상이에요.
직계존속 중 한 분만이라도 만 60세 이상
배우자 직계존속 포함입니다.
증여
3년 이내 기존 보유 주택을 판매하셔야 하고
기존주택을 2년 이상 보유, 매도가격 9억 이하
로 하여야 합니다.
상속
상속으로 1가구 2주택이 된 경우
본인 소유의 집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 면제 대상입니다.
결혼
결혼으로 2주택이 되는 경우
혼인신고한 이후 5년 이내에
한 주택을 처분하면 양도소득세 면제 조건
에 부합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