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청약 가점제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가미르 2020. 10. 28.
반응형

청약통장 1순위 조건에 해당되더라도

다른 많은 분들 또한 1순위 조건이 많은 게

현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택청약 가점제가 있다고 해요.

이 가점제 점수에 따라 세밀하게

당첨이 된다고 합니다.

 

 

 

 

 

조건이 1순위라고 하더라도

당첨될 확률이 100%가 아니기 때문에

높은 가산점을 받는 게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청약통장 가입 기간, 무주택 기간이

길면 길수록 납입금액이 많으면 많을수록

부약 가족이 많을수록 가산점이

높게 나온다고 하네요.

아이가 많은 집엔 더 많은 가산점이 있으면

좋겠다는 저만에 생각이 있네요.

 

 

 

 

 

☞ 주택청약 가점제 무주택 기간 점수

주택청약 가점 항목은 세 가지로

나눠지며 84점 만점이라 해요.

무주택 기간 최고 32점

입주자 모집공고 일 현재로

청약통장 가입자분의 주민등록 등본 상에

기재되어 있는 가입자 여야 하며

세대 인원 모두가 무주택자분들 이어야 합니다.

예외 사항

소형, 저가 주택에서 살며

국가에서 인정하는 전용면적 60㎡ (제곱미터)

이하의 주택이며 공시가 1억 3천만 원 이하의

주택을 한채 보유한 분들에 한해서

주택 보유기간을 무주택 기간으로

인정해 준다고 합니다.

 

 

주택청약 가점제 부양가족수 점수

부양가족수 최고 35점

세 가지 항목 중 가산점이 가장 큰 점수는

부양가족수입니다.

주민 등록등본에 올라있는 세대원

을 기존으로 하며

- 직계존속 : 조부모, 부모, 배우자, 존속 포함

- 직계비속 : 미혼 자녀

직계존속을 부양하시더라도

주민 등록등본 상에 기재된 지 3년 이상

되어야 합니다.

그럼 한 분도 부양가족이 없다면 5점입니다.

6분 이상일 경우 최고점인 35점을

준다고 합니다.

조금 더 높은 점수 주는 것도 괜찮을듯합니다.

 

 

주택청약 가점제 청약통장 가입 기간 점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 최고 17점

마지막으로 세 번째 가점제 항목으로

가장 낮은 점수인 가입 기간이지만

이점수 또한 무시할 수 없지요.

위에서 표를 보시면

최고 17점이 주어지지만 6개월

미만부터 15년 이상까지의

점수 차이가 상당한 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좋던 실천 무조건 가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닌가 싶어요.

 

 

2018년도 금융결제원에서

제공한 표를 보시면 최저가점

평균 가점이 보이실 겁니다.

운이 좋아 최저가점에 당첨되신 분들도

보이지만 평균 가점을 보시면

높은 가점에 되신 분들의 점수 또한

높지 않을까 싶네요.

 

 

평균 가점이 60점 이상일 때 당첨될 확률이

높다는 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오늘은 주택청약 가점제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댓글